A Thousand Winds

On the Table

하준서림의 테이블 북 첫번째 프로젝트. 

 


탁자 위에 한잔의 커피와 어울리는 책, 테이블북은 빛 좋은 창가에서 탁자 하나를 두고 사유하고, 대화하는 오후의 풍경을 떠올리게 한다. 테이블북 시리즈는 ‘오랜 시간 곁에 두고 볼 수 있는 멋진 책’의 개념을 바탕으로 제작된 하이엔드 에디션 단행본이다. 인간 본연의 사유, 정신문화, 예술, 철학 등의 인문 교양 분야를 짧지만 깊이 있는 문장과 함께 충실한 도판을 수록하여 책의 품위를 더하고자 기획했다.

 

그 첫 번째 시리즈인 《천의 바람》은 김동진 사진작가와 우찬제 문학평론가가 함께한 사진집이다. 11장으로 이루어진 글과 사진은 두 작가의 독립적인 시선이 하나의 풍경과 사색으로 어우러지며, 설악이 품고 있는 수만 개의 얼굴과 이야기를 깊이 있게 보여 주고 있다. 오랫동안 자신의 위치에서 산을 담아 온 김동진 작가의 풍경과, 이 풍경을 벗 삼아 사색하고 문학적 상상력을 발휘한 우찬제 평론가의 글은 ‘천의 바람(wind)’ 혹은 ‘천의 바람(wish)’이 되어 인간과 자연 사이의 교감과 황홀한 합일(合一)의 이야기로 독자들에게 다가가고자 한다.

 

 

 

 

 

Gallery

 

Editorial Note

 

‘오랜 시간 동안 곁에 두고 볼 수 있는 책’의 개념을 바탕으로 테이블북 시리즈를 기획하며 가장 중심에 두었던 것은, 비록 ‘한 권의 책’일지라도 그 책이 지닌 물성과 감각으로 깊이 사유하며 영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품위 있는 책을 만들고자 하는 신념이었다.

 

그 첫 번째 시리즈인 『천의 바람』은 자연을 정복의 대상으로 바라보지 않고, 거대한 산속으로 걸어 올라가는 작가의 발걸음에서부터 시작된다. 풍경사진은 자연과 대상의 외형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 대상을 어떻게 바라보느냐‘하는 인식의 문제이기에, 여기서 사진은 풍경을 드러내는 동시에 풍경에 내재된 시선을 드러낸다.

 

김동진 작가의 사진은 대상을 관조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기 보다는 대상 속으로 직접 걸어 들어가, 대상이 지닌 참모습과 감각들을 자연스럽게 보여주고 있다. 그는 하나의 대상을 분석적인 시점으로 관찰하고 기록하는 관찰자이기보다는 그 안의 일부로서 혹은 존재하는 자아로서 그 속에 온전히 위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대상과 대상 사이에 위계질서를 부여하지 않고, 대상과 관람자 사이의 거리감을 제거함으로써 보다 깊이 있게 풍경에 몰입할 수 있는 지점을 만들어 준다. 여기에 우찬제 평론가의 글이 더해져 풍경은 다층적인 깊이를 더한다.

 

산수화에서 그림을 그리는 사람의 시선이 풍경과 하나가 되어 그 속을 이리저리 움직여 다니는 다시점多視點의 유동성을 보여주는 것처럼, 작가는 설악의 어딘가에 일부로서 존재하거나, 설악의 품속에서 유유히 방랑하는 존재자로 표현되고 있다. 사진은 때로는 설악을 오르는 사람들의 흔적을 담기도 하며, 올려보고, 내려 보는 동시에 틈새로도 본다. 이 시간들 사이에서 작가는 복잡한 삶의 피로를 드러내고, 바람이 만들어낸 경관, 바람과 햇볕, 그리고 그림자가 만들어낸 풍경을 따라 설악을 오른다.

 

산은 움직이지 않는다. 그러나 산을 찾는 사람의 발걸음에 따라 산은 가슴을 열어 수천, 수 만 개의 얼굴을 보여 준다. 그 고유한 풍경들과 마주하며 테이블 북을 펼치는 독자들이 마음의 위안과 평화를 얻을 수 있기를 바란다.

 

 

Based on the concept of 'a book that you can keep with you for a long time', what was most central to planning our table book series was a belief that we should create books of such quality that even if it was 'just one book,' it could inspire deep thought and inspiration with the properties and feel of a book.

The first volume in the series, A Thousand Winds, begins with the artist's steps as he walks up into a vast mountain without considering nature as an object of conquest. Since landscape photography does not merely reproduce the appearance of nature and objects, it is a matter of recognition of how to recognize nature and objects.

 

Artist Kim Dongjin's photos do not look at objects from a contemplative point of view, but rather they walk directly into and naturally show the true appearance and senses of each object. Rather than an observer who observes and records an object from an analytical point of view, he is completely located in it as a part of it or as an existing self. It creates a point where you can immerse yourself in the landscape more deeply by removing the sense of distance. In addition, the writings of critic Woo Chanje add a multi-layered depth.

 

Just as a landscape painting shows the fluidity of a multi-viewpoint where the gaze of the person painting becomes one with the landscape and moves around in it, in these photographs, the artist exists as a part of Seorak or as a being who wanders leisurely in the arms of Seorak. His photos sometimes contain traces of people climbing Seorak, looking up or down at them, and seeing them through a gap. Between these times, the artist reveals the complexities of life and portrays Seorak by following the scenery created by the wind, the wind and sunlight, and the shadows.

 

Mountains do not move. However, according to the footsteps of those who visit the mountain, the mountain opens its breast and reveals thousands or tens of thousands of faces. We hope that readers who open this book will find comfort and peace of mind, facing the unique landscapes that the artist has built up over the course of ten years..

  

Author

 

김동진_사진작가. 자연, 특히 산을 주로 사진에 담아왔다. 10여 년 전부터 우리나라 국립공원의 아름다움에 심취하여 설악산을 중심으로 작업하고 있다. 최근에는 설경과 은하수 등 일반인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소재를 주로 다루고 있으며, 자연과 인간의 교감을 통한 자아自我의 탐구 등을 표현하고자 하고 있다. 자연을 통해 인간이 자신의 깊은 내면에 닿기를 소원하며 사진을 담는다. 2014년, 2019년 두 차례 개인전을 열었고 다수의 그룹전에 참여했다.

 

 

Kim Dongjin_ Photographer. He has mainly photographed nature, especially mountains. Since about 10 years ago, he has been fascinated by the beauty of the national parks of Korea and has been working mainly in Mt. Seorak. Recently, he has covered subjects that are not easily accessible to the general public, such as snowscapes and the Milky Way, attempting to express the exploration of the self through communion between nature and the human. Humans aspire to reach their deepest inner self through nature, and his photos express this. He held two solo exhibitions in 2014,2019 and has participated in numerous group exhibitions.

 

 

우찬제_서강대학교 국문학과 교수. 문학비평가. 1987년 중앙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하여 『애도의
심연』(2018), 『나무의 수사학』(2018), 『불안의 수사학』(2012), 『프로테우스의 탈주-접속시대의 상상력』(2010), 『고독한 공생』(2003), 『타자의 목소리』(1996), 『상처와 상징』(1994), 『욕망의
시학』(1993) 등을 썼고, 대산문학상, 팔봉비평상, 김환태평론문학상, 소천비평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최근엔 영랑호와 설악산을 오가며, 기후 침묵의 기억을 환기하고, 기후 행동을 위한
생태학적 지혜와 상상력을 탐문하는 환경인문학을 모색하고 있다.

 

 

Wu Chanje_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ogang University. Literary critic. In 1987, he debuted in the JoongAng Ilbo's annual spring literary awards, and has published the following titles: Abyss of Mourning(2018), Rhetoric of Trees(2018), Rhetoric of Anxiety(2012), Protean Escape-Imagination in the Age of Access(2010), after his earlier volumes: Living Alone Together(2003), The Voice of Others(1996), Wound and Symbol(1994), Poetics of Desire(1993), etc. He has received the Daesan Literary Award, the Palbong Criticism Award, the Socheon Critical Writing Award. He recently travels between Lake Yeongrang and Mt. Seorak, evoking memories of climate silence, seeking environmental humanities to explore ecological wisdom and imagination for climate action.


 

천의 바람 | 김동진 - 교보문고

천의 바람 | 테이블북_오랜 시간 곁에 두고 볼 수 있는 멋진 책탁자 위에 한잔의 커피와 어울리는 책, 커피 테이블북은 빛 좋은 창가에서 탁자 하나를 두고 사유하고, 대화하는 오후의 풍경을 떠

product.kyobobook.co.kr

 

'On the Tab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stant éternel  (0) 2023.06.04